top of page

저온신호의 인지 및 세포신호전달과정과 식물호르몬 네트워크 규명

식물의 저온에 대한 반응 및 적응은 식물학적으로 그리고 농업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특성으로서 식물의 지리학적 분포 및 농작물의 수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식물체는 저온에 일정 기간 노출되면 동결온도에 저항성을 부여하는 많은 유전자들을 발현시켜 이후의 동결조건에서도 살아남도록 적응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전은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거미줄처럼 연결된 복잡한 신호전달네트워크 상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식물체는 저온, 건조, 고염 등의 환경 스트레스가 주어졌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전자의 발현 조절을 포함한 많은 생리학적 발달학적 변화를 수반하며 대응하게 된다. 이러한 대응과정의 첫단계인 스트레스 신호의 인지와 전달과정에 대한 이해는 이후 수반되는 유전자발현 조절과 스트레스 내성 및 극복기구를 규명하고 이해하는데 필수적일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내성 식물체의 제조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게 된다.

​식물의 움직일 수 없는 고유한 특성 때문에 식물체의 외부 환경변화에 대한 반응은 호르몬, 빛, 대사 네트워크, 식물 성장 및 발달 등 시스템적으로 대응하여 적응하므로 식물의 외부 환경에 대한 반응 및 적응과정의 이해는 한 요인의 분석 보다는 이의 연결과 복합적 작용에 초점을 두고 접근 해야 한다.

​식물의 뿌리시스템 구조(root system architecture)는 식물에 영양소와 물의 흡수 기능 및 토양 등 기질에 부착기능을 부여하여 식물의 생존과 수율 및 환경스트레스 저항에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뿌리시스템 구조의 주 결정인자인 측근(lateral root)의 발달과정을 조절하는 주요 전사인자 중의 하나인 Cytokinin Response Factor (CRF)2 및 3 유전자의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활성화이 생화학적 분자 기전과 하부 조절 유전자 네트워크 및 이들의 생물학적, 세포학적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측근의 발달과정 및 주변 환경변화, 특히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고자 한다.

​최근 본 연구실에서는 저온환경 조건에서 전사인자  CRF2 및 CRF3의 측근 형성 조절과정에서의 기능과 사이토키닌 호르몬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의존성과 비의존성 상부 신호전달 경로의 일부를 규명하였다. CRFs는 AP2/ERF superfamily내의 small family에 속하는 전사인자로서 식물호르몬 사이토키닌에 의해 유전자 발현이 촉진되는 유전자로 최초 분리되었으며,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 경로 구성 성분과 조합적으로 혹은 독립적으로 작용하여 식물의 성장과 발달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사이토키닌 two-component signaling system은 그림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의 인지와 전달을 매개하기 위해 인전달 과정을 사용하는데, 사이토키닌이 세포막에 존재하는 sensor histidine kinases인 Arabidopsis Histidine Kinases (AHPs)에 결합하면 자가 인산화된후 인 분자를 Phosphotransfer proteins (AHPs)에 전달하고, AHPs는 다시 인을 세포핵에 존재하는 Arabidopsis Response Regulators (ARRs)에 전달하여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전형적인 ARR 단백질은 type-A와 type-B로 나뉜다. Type-B는 표적 유전자의 프로모터 DNA에 결하하는 전사조절인자로서 사이토키닌 및 저온에 의해 전사가 유도되지는 않으며, 양성조절인자로 작동한다. Type-A는 사이토키닌 및 저온 유도성 단백질로서 주로 음성조절 인자로 작동한다.

TCS 모식도_cold.tif

이러한 배경에 근거하여 CRF2/3 전사인자 유전자의 저온 스트레스에 의한 활성화의 생화학적 분자 기전과 하부 조절 유전자 네트워크 및 이들의 생물학적, 세포학적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측근의 발달과정 및 저온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과정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기 위하여 아래의 3가지 목표로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1) 저온 및  사이토키닌에 의한 ARR1 SUMOylation에 의한 표적유전자 및 생물학적 기능 활성화 기전 분석

(2) CRF3 유전자의 옥신 신호전달을 통한 저온 활성화 기전 분석

 

(3) CRF3의 하부 유전자 조절 네트워크 분석

bottom of page